병인, 병기론 5(개론)
1. 병인
병인이란 질병의 원인이다.
질병의 원인으로는 육음, 칠정, 음식, 과로, 성무절제,담음, 어혈등이 있다.
기후변화를 나타내는 風, 寒, 暑, 濕, 燥, 火를 육기라하고,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육기를 육음,육사라고한다. 육음발병의 특징은 계절의 기후와 관련이 있다. 봄에는 풍병이 주로 발병한다. 대개 피부,입, 코를통해 들어온다. 육음으로 발병하는 것을 외감병이라한다.
풍은 봄철의 주기이다. 풍사는 모든 병의 우두머리이다. 풍한, 풍습, 풍열등 다른 사기를 동반한다. 가볍게 날리는 성질로, 두통, 현훈, 오풍, 한출등의 증상이 있다. 풍사로 인한 병은 옮겨다닌다. 한은 겨울의 주기이다. 한사는 음사이다. 오한이 나고 비위, 비신을 상한다. 한사는 격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수축하는성질이 있다. 서는 여름의 주기이다. 서는 양사이고 성질은 뜨겁다. 열증,고열, 구갈, 다한. 심번이 있다. 서사는 상승산,하는성질이 있다. 서에는 습이 끼어들기 쉽다. 늘어지고 답답한 증상이있다. 습은 장마철의 주기이다. 음력6월이다. 습사는 중탁한 성질있다. 무겁고 나른한, 피곤증상을 보인다. 습은 끈적하고 움직이지 않는 성질이있다. 습이 비에 침습하면, 비의운화기능이 손상, 설사 수종증세를 보인다. 조는 가을의 주기이다. 조사는 마르고 깔깔, 진액을 손상시킨다. 조사는 입과 코로 들어오기 때문에 폐를 손상한다. 폐의 선발 숙강에 영향을 주어, 마른기침, 담, 숨참, 가슴아픈증세가 나타난다. 화는 열이 더욱발전한것이다. 화는 위로 타오른다. 화는 쉽게 기와 진액을 손상시킨다.
칠정. 정신적인요소로 희, 노, 우, 사, 비, 공, 경을 말한다. 칠정은 내장에 직접적인 영향. 내상칠정 이라한다. 소문에, "노하면 간을 , 기뻐하면 심을 , 생각이 과하면 비를, 슬퍼하면 폐를, 두려워하면 신을상한다"고 했다. 희. 기쁨이 과하면 심기가 소모. 집중할수 없게된다.
노하면 간기를 거슬러 올라가 간의 소설기능이 실조된다. 우는 침울한상태이다. 폐기가 손상된다. 비.노,우,사의 과한 상태이다. 공은 공포로 신기에 영향준다. 경은 놀람이다.
기타발병요인.
음식부절제,기름진, 날음식, 찬음식, 과식,불결한음식. 편식.
과로, 과일(과로의 반대) 장기적인 과로는 비위를 손상, 기력감소, 사지나른, 말하기싫고, 숨이차고, 정신적으로 피곤해진다.
과도한 안일은 기혈순행이 순조롭지않고, 식욕부진, 피로해진다. 과도한 방사는 신정을 소모시켜 요슬산통, 이명, 현훈, 양위조절, 월경부조가 생긴다. 외상충수상. 외상에는 타박상,찰과상,화상이 있고, 충수상은 벌레나 짐승에의한 것이다. 담음 비폐신의 기능이 실조되고 다시 한열, 화기등의 원인으로 생긴다. 진액운행에 영향, 수습이 모여서 형성된다. 어혈은 기허, 기체, 혈열, 혈한 ,외상이 원인이다. 동통 출혈 어반이 특징이다.
2. 병기
병기란 질병의 발생 진전 변화 과정이다. 부위로본다면 표리로 출입, 상하로 승강한다. 성질로 본다면 한열이 진퇴하는 상호전화와, 정기사기의 허실교차, 음양기혈의 부조화가 있다.
음양실조
인체내에서, 음양이 한쪽으로 성하거나 쇠하게되면, 한열 허실의 병리가 나타난다. 인체내 음양성쇠의 규칙은 양이 성하면 외열되고, 양이 허하면 외한이 된다. 음은 그반대로 음성 내한, 음허 내열이 된다. 질병과정인 병리는 모두 음양실조로 개괄된다는 것이 음양이론이다.
승강출입
승은 청양을 올라가게하는것, 강은 탁음을 내려가게, 출은 묵은것을 내보내고 입은 새로운것을 받아들이는것이다.
기의 승강출입은 각장부의 종합적인 작용이다. 그중에서 비위의 승강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비의 승강운동이 순조로워야 간의 승발, 폐의 숙강, 심화의하강, 신수의상승, 폐기의선발, 신양의증등, 폐의호흡,
신의납기등이 완성될수있다. 병증은 매우많으나 병리의 대부분이 승강출입의 불균형과 관계가 있다.
'침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맥, 독맥 상용혈(경락경혈학) (0) | 2013.07.27 |
---|---|
뜸은 가족과 이웃의 건강 지킴이 (0) | 2013.07.27 |
음양오행론2, 3(개론) (0) | 2013.07.26 |
장상론4(개론) (0) | 2013.07.21 |
근육, 신경(해부생리학3, 4) (0) | 2013.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