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漢字(한자) 部首(부수) 214字
1. 부수 214
1. 一 한 일 2. 丨뚫을 곤 3. 丶점 4. 丿삐 침 5. 乙새 을, 丨새을 방 6. 亅갈고리 궐 7. 二두 이 8. 亠돼지해 밑 9. 人사람 인, 亻사람인 변 10. 儿어진사람인발
11. 入들 입 12. 八여덟 팔 13. 冂멀경 몸 14. 冖민갓머리 15. 冫이수 변 16. 几안석 궤
17. 凵위튼입구 몸 18. 刀칼 도, 刂선칼 도 19. 力힘 력 20. 勹쌀포 몸
21. 匕비수 비 22. 匚터진입구 몸 23. 匸감출혜 몸 24. 十열 십 25. 卜점 복 26. 卩병부 절, 㔾병부 절 27. 厂민엄 호 28. 厶마늘 모 29. 又또 우 30. 口입 구
31. 囗큰입 구 32. 土흙 토 33. 士선비 사 34. 夂뒤져올 치 35. 夊천천히걸을 쇠 36. 夕저녁 석 37. 大큰 대 38. 女계집 녀 39. 子아들 자 40. 宀갓머리
41. 寸마디 촌 42. 小작을 소 43. 尢
절름발이 왕, 尣절름발이 왕 44. 尸주검 시
45. 屮풀 철 46. 山메 산 47. 巛개미허리, 川내 천 48. 工장인 공 49. 己몸 기 50. 巾수건 건
51. 干방패 간 52. 幺작을 요 53. 广엄호 밑 54.
廴민책받침 55. 廾밑스물 입 56. 弋주살 익
57. 弓활 궁 58. 彐터진가로 왈 59. 彡터럭 삼 60. 彳두인 변
61. 心마음 심, 忄심방 변, 㣺심방 변 62. 戈창 과 63. 戶지게 호 64. 手손 수, 扌재방 변 65. 支지탱할 지 66. 攴등글월 문, 攵등글월 문 67. 文글월 문 68. 斗말 두 69. 斤근 근 70. 方방소 방
71. 无이미기 방 72. 日날 일 73. 曰가로 왈 74. 月달 월 75. 木나무 목 76. 欠하품 흠 77. 止그칠 지 78. 歹죽을 사, 歺죽을사 변 79. 殳갖은등글월문 80. 毋말 무
81. 比견줄 비 82. 毛털 모 83. 氏성씨 씨 84. 气기운 기 85. 水물 수, 氵삼수 변, 氺삼수 변 86. 火불 화, 灬연화 발 87. 爪손톱 조, 爫손톱 조 88. 父아비 부 89. 爻점쾌 효 90. 爿장수장 변
91. 片조각 편 92. 牙어금니 아 93. 牛소 우牜소우 변 94. 犬개 견, 犭개사슴록변 95. 玄검을 현 96. 玉구슬 옥, 王임금 왕 97. 瓜외 과 98. 瓦기와 와 99. 甘달 감 100. 生날 생
101. 用쓸 용 102. 田밭 전 103. 疋필 필 104. 疒병질 밑 105. 癶필발머리 106. 白흰 백 107. 皮가죽 피 108. 皿그릇 명 109. 目눈 목, 罒눈 목 110. 矛창 모
111. 矢화살 시 112. 石돌 석 113. 示보일 시礻보일시변 114. 禸짐승발자욱유 115. 禾벼 화 116. 穴구멍 혈 117. 立설 립 118. 竹대 죽 119. 米쌀 미 120. 糸실 사 120. 糸실사 변
121. 缶장군 부 122. 网그물 망, 罒그물 망, 罓그물 망 123. 羊양 양, 羊양양 변 124. 羽깃 우 125. 老늙을 로, 耂늙을로 변 126. 而말이을 이 127. 耒쟁기 뢰 128. 耳귀 이 129. 聿오직 율 130. 肉고기 육, 月육달 월
131. 臣신하 신 132. 自스스로 자 133. 至이를 지 134. 臼절구 구, 臼절구 구 135. 舌혀 설 136. 舛어길 천 137. 舟배 주 138. 艮그칠 간 139. 色빛 색 140. 艸초 두, 艹초 두
141. 虎범호 밑 142. 虫벌레 충 143. 血피 혈
144. 行갈 행 145. 衣옷 의, 衤옷의 변 146. 襾
덮을 아 147. 見볼 견 148. 角뿔 각 149. 言말씀 언 150. 谷골짜기 곡
151. 豆콩 두 152. 豕돼지 시 153. 豸갖은돼지시변 154. 貝조개 패 155. 赤붉을 적 156. 走달아날 주 157. 足발 족 158. 身몸 신 159. 車수레 거 160. 辛매울 신
161. 辰별 진 162. 辵갖은책받침, 辶책받침변
163. 邑고을 읍, 阝우방 변 164. 酉닭 유 165. 采캘 채 166. 里마을 리 167. 金쇠 금 168. 長긴 장, 镸긴장 변 169. 門문 문 170. 阜언덕 부, 阝좌부 변
171. 隶미칠 이 172. 隹새 추 173. 雨비 우 174. 靑푸를 청 175. 非아닐 비 176. 面낯 면 177. 革가죽 혁 178. 韋가죽 위 179. 韭부추 구 180. 音소리 음
181. 頁머리 혈 182. 風바람 풍 183. 飛날 비 184. 食밥 식, 食밥식 변 185. 首머리 수 186. 香향기 향 187. 馬말 마 188. 骨뼈 골 189. 高높을 고 190. 髟터럭발밑
191. 鬥싸울 투 192. 鬯술 창 193. 鬲솥 력 194. 鬼귀신 귀 195. 魚고기 어 196. 鳥새 조 197. 鹵소금밭로 198. 鹿사슴 록 199. 麥보리 맥 200. 麻삼 마
201. 黃누를 황 202. 黍기장 서 203. 黑검을 흑 204. 黹바느질할치 205. 黽맹꽁이 맹 206. 鼎솥 정 207. 鼓북 고 208. 鼠쥐 서 209. 鼻코 비 210. 齊가지런할제
211. 齒이 치 212. 龍용 룡 213. 龜거북 귀 214. 龠피리 약
2. 部首쓰기
部首의 8가지 짜임새
부수란 한자의 구성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거나 玉篇에서 모르는 字를 찾을 때 그 길잡이가 되는 기본글자를 말하며 다음 8가지로 분류된다.
1. 변(扁) : 부수가 그 글자의 왼쪽을 이룰때
2. 방(旁) : 부수가 그 글자의 오른쪽을 이룰때
3. 엄(垂) : 부수가 그 글자의 위에서 왼쪽을 이룰 때
4. 머리(冠) : 부수가 그 글자의 위쪽을 이룰 때
5. 몸(構) : 부수가 그 글자를 에워싸고 있을 때
6. 받침(繞,요) : 부수가 그 글자의 왼쪽에서 밑을 이룰 때
7. 발(脚) : 부수가 그 글자의 밑을 이룰 때
8. 제부수(單獨) : 글자 자체가 部首의 하나일때 등을 말한다.
위의 7가지중 부수가 놓여진 위치를 살펴보면서 부수한자를 바르게 공부해 보자.
변방엄머리몸받침발□□□□□□□
仁故局京口廷元補郡病笑包起孟
筆順 이란, 漢字를 쓸 때, 한 글자가 이루어져 가는 일정한 바른 順序를 말하며 이를 劃順(획순)이라고도 한다. 다시 말해서 점과 획, 변과 몸을 차례로 써 나가야 하는 것이 필순이다.
여기에는 절대적인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오랜 세월에 걸쳐 여러 사람의 체험을 통해 쓰기에 편리하도록 정해진 필순이 있다.
바른 필순에 따라 漢字를 쓰면 쓰기가 쉽고 빠를뿐 아니라 모양도 예뻐진다.
筆順은 글자의 모양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칙이 있다.
먼저 필순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ꊱ 위에서 아래로
ꊲ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것을 절대원칙이라 하며, 여기에서 세분된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원칙이 있다.
(1) 위에서 아래로 쓴다.
三元王京客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川林休相河
(3) 가로 획을 먼저 쓴다.
十下木古原
(4) 가운데를 먼저 쓴다.
小山出水永
(5) 바깥을 먼저 쓴다.
火同風國目
(6) 꿰뚫은 획은 나중에 쓴다.
中女事車每
(7) 삐침을 먼저 쓴다.
九成右有反
(8) 오른쪽 위에 있는 점은 나중에 쓴다.
犬代伐城識
(9)받침이㉠독립자일 때는 먼저 ㉡독립자가 아닐때는 맨 나중에 쓴다.
㉠起題 ㉡近道延
●부수(部首)는 한자를 정리·배열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다. 한자를 각 글자마다 구성 요소를 추출하고, 그 중에서 뜻 부분이 비슷한 것을 모아 공통되는 뜻 부분이 있는 모습을 색인에 내어 부수로 삼는다.
부수는 단자로 된 것도 있으나, 쓰이지 않는 것(1획의 丨(곤)·丶(주)·丿(별)·亅(궐), 2획의 亠(두)·冂(경)·冖(멱)·冫(빙)·凵(감)·勹(포)·卩(절), 3획의 屮(좌)·巛(천)·幺(요) 등)도 있다. 획수가 많은 것으로는 16획의 龍(용 룡)·龜(거북 귀), 17획의 龠(피리 약) 등이 있다.
자전에서는 총 획수가 적은 한자의 경우나 뜻 부분의 추출이 곤란한 경우는 모습이 유사한 부수에 편의상 일괄하는 일이 있다. (예: 王(임금 왕)은 玉(구슬 옥) 부수 0획)
자주 나오는 부수는 변·방·머리·받침·에운담 등이다. 부수의 배열은 주로 획수순이고, 획수가 같은 부수는 배열 순서가 따로 정해져 있다. 현재 유니코드는 한 영역 안에서 한자 배열을 부수-획수 순서대로 하고 있다.
부수를 처음 사용한 자전은 설문해자로, 소전체 글자에서 뜻을 나타내는 부수자 540글자를 정하고 이를 태극을 의미하는 一부터 십이지의 마지막인 亥까지 배열했다. 이는 현대에 널리 쓰이는 강희자전 부수가 글자를 빨리 찾기 위한 목적으로 정해진 것과는 다르다. 자휘에서는 해서를 기준으로 삼고 설문해자의 부수를 간략화해 214자로 정리했고, 이를 강희자전에서 채택해 흔히 '강희자전식 부수'라고 한다. 대만과 한국과 일본은 지금도 강희자전식 부수를 쓰지만, 중국의 신화자전은 189부, 한어대사전은 200부를 사용한다.[1]